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는 더이상 자국내에서만 머물지 않고 국가간의 경계도 허물어지면서 점차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다. 세계화는 기존보다 더욱 많은 물품을 생산하게 만드는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가져왔고 이는 곧 실질소득 증가로 이어졌는데, 국가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생산성이 향상된 원인은 무엇일까?

 

 

1. 전문화

 

자본주의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분업화, 전문화가 이루어지면서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한 국가내에서 특정분야를 잘하는 사람이 그 분야에만 집중할 때 생산성이 높아진 것처럼 국가간에도 더 잘하고 못하는 것이 존재하는데, 세계화를 통해 국가들은 본인들이 특히 더 잘하는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잘하지 못하는 분야의 물품들은 다른나라로부터 구입해 사용함으로써 세계 전체적으로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즉, 기존보다 더 적은 노동이 투입되어도 글로벌적 관점에서는 오히려 생산량이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집중은 생산 공정의 깊은 연구를 통한 개선과 혁신도 자극되어 더욱 빠르게 생산성을 키우게 된다.

 

2. 통신비용과 운송비용 감소

 

세계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곧 통신과 운송 인프라가 갖춰진다는 것인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특정국가에서 특기를 살려 전문화된 질좋은 제품을 싼가격에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최근 환율이 많이 내려갈 때 '직구'라는 것이 성행하곤 하는데 이런것들이 모두 글로벌화되는 과정 속 국가간 원활한 통신과 운송에 대한 인프라가 갖춰지면서 비용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이 비용들이 감소되어 어디서 생산하든 판매가 쉬워지기에 본인들이 잘하는 분야에 집중해 생산한 뒤 타국에 팔기가 쉬워져 더더욱 집중생산이 가능해져 생산량이 커지고, 소비자들은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 것이다.

 

3. 생산 자원 활성화

 

통신과 운송의 발달로 기업들은 더 이상 한 국가에서만 생산할 필요가 없다. 즉 자국내에서만의 생산에 얽매이지 않고 더 효율적인 곳이 있다면 그곳에서 기업활동을 해도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곧 특정 현지 근로자에만 얽매일 필요가 없어 임금에 대한 비용을 낮출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원산지가 타국에 있다면 굳이 국내로 수입해 들여와 제품을 생산하고 타국에 다시 팔 필요없이 그냥 그 원산지 근처에서 생산행위를 해도 된다. 즉 생산 요소 접근성이 높아져 특정 지역의 자원과 자본에만 의존할 필요성이 적어지는 것이다. 이런것들은 모두 비용감소로 이어지고 그 감소한 비용은 더 많은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이나 생산공정 개선등에 사용된다.

 

4. 경쟁 심화

 

한 국가내에서만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속에서 경쟁하게 되면 더 많은 기업들과 경쟁을 하게되면서 경쟁이 심화된다. 이는 곧 원자재 가격이나 임금 상승 등 원가가 상승하더라도 상품의 가격을 인상하기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즉 독점과 과점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이런 심한 경쟁속에서 혼자 가격을 올렸다가는 고객 이탈로 바로 시장점유율이 대폭 하락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업들은 생산방법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더더욱 열심히 찾게 될 수 밖에 없다. 그렇게 개선에 성공한 기업들은 더 적은 원자재와 직원을 투입하고도 똑같은 양의 물품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 경쟁 속에서 효율성 개선에 실패하거나 너무 느린 기업은 경쟁력이 약화되어 시장에서 퇴출되고 점차 효율성이 높은 기업만 살아남게 되면서 더더욱 생산성이 향상된다.

 

5. 전체 시장 확대, 규모의 경제 증가

 

시장 규모가 커질수록 매출과 이익을 더 많이 낼 수 있고, 더 큰 규모의 경제를 행하여 단위 생산당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익이 많이 나는 곳에는 많은 기업인과 발명가, 자본가들이 몰려들게 되는데 이는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생각들을 만들어내어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규모의 경제를 더 크게 행할 수 있게 되면서 하나를 생산하는데 더 적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면서 기존보다 생산성이 증대된다.

 

6. 지식의 확산

 

통신의 발달과 글로벌 기업들이 세계 이곳저곳으로 옮겨다니면서 전파하는 지식은 세계 경제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단순히 무역을 통해 상품을 교환하면서 교환된 상품을 보고 배우던 지식이 이제는 직접적으로 전달되면서 더 빠르게 생산에 대한 지식의 확산이 이뤄지는 것이다.

 

7. 비경쟁 소비 증가

 

한 사람이 사과를 1개 먹으면 다른 사람들은 사과 1개만큼 소비할 수 있는 양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누군가가 소비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소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비경쟁 소비라고 한다. 인터넷에 올려진 지식 등이 대표적인 예다. 한 명이 그 지식을 보았더라도 그것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 그 자리에 존재하기에 다른 사람이 소비하기에 별 무리가 없다. 오프라인에서 책을 사서 지식을 얻던 것을 인터넷으로도 얻을 수 있다고 치면 지식에 대한 전체적으로 지식에 대한 원가가 대폭 감소하는 것이다. 소비가 아무리 증가해도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이런 비경쟁 소비가 확산되면 생산성 증대로 이어진다.

Posted by 은목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