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보고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매출액을 여러가지로 나눠서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하면 기업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알 수 있는 원천이 된다.

 

먼저 기업의 매출액은 그 유형에 따라 재화 매출과 용역 매출 두 가지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재화매출은 다시 2가지로 나뉘어서 제품을 통한 매출위주냐, 상품을 통한 매출위주냐로 살펴보아야 한다.

 

제품매출에 해당하는 것은 원재료를 사와서 기업내부의 공장등에서 가공을 통해 만들어낸 것을 판매하게 된 것들이다. 상품은 외부에서 만든것을 그대로 사와서 다시 되파는 것을 말한다.

 

만약 제품매출비중이 높게 나타난다면 이 기업은 어디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까? 원재료를 매입하고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는 제조업에 해당할 확률이 높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여기에 속할 것이다.

 

반면 상품매출이 높게(50% 이상) 나타난다면? 무언가를 직접적으로 생산해내기 보다는 외부에서 가져와서 파는 도매업이나 소매업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유통업'에 해당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형 백화점이나 할인마트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여러 브랜드를 모아서 기업과 고객과의 연결을 쉽게 해주는 것이다.

 

제품매출이 높은 제조업의 경우 기술이나 유행의 변화 등에 영향을 받기 쉽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자체 브랜드를 통한 브랜드 파워를 갖추기가 좀 더 쉽다는 점은 장점이 될 수 있고, 정부 규제 등에 있어서도 좀 더 자유로울 수 있다.

 

반면 상품매출이 높은 경우에는 기술이나 유행이 변화 하더라도 그냥 물건만 바꿔서 채워 넣으면 되기 때문에 여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브랜드 파워를 갖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A라는 물건을 살 때 그냥 가장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는 유통회사를 선택하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소매업은 정부지원보다는 규제의 대상이 되기 쉽다. 거대한 공장이나 섬세한 기술이 필요한 제조업과 같은 경우에는 개개인이 하기 힘들지만 도소매 같은 유통업은 개개인이 진출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대형마트에게 매달 격주(매월 2,4번째 일요일)로 강제로 문을 닫게하는 것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재화 매출보다 용역 매출이 많다면 그 기업은 서비스업종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용역 매출은 A/S, 소프트웨어 개발 등 주로 노동력만을 제공하고 얻는 매출이다. 서비스업종의 경우 넓은 땅이나 거대한 공장과 같은 유형적인 자산이 많이 필요 하지 않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안에 속해 있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사람을 어떻게 선발하는지, 꾸준한 교육의 기회 등 스스로 발전할 기회를 제공하는지, 알맞은 보상시스템이 만들어져 있는지 등이 제조업이나 유통업에 비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즉, 사람을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무능한 사람을 선발하거나, 꾸준한 교육등이 없어 시대에 뒤쳐진 서비스를 제공하면 그 서비스 기업을 찾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알맞은 보상 시스템이 없다면 별 능력도 성과도 없는 사람에게 능력과 성과를 많이 낸 사람보다 많은 보수가 지급될 수 있고, 능력 있는 사람들이 차츰 회사를 빠져나가면서 점점 경쟁력 없는 기업으로 바뀌어 버릴 것이다.

 

최근 한 엔터테인먼트 회사는 한 클럽에서 발생한 사건이 발단이 되어 기업이 한바탕 뒤집히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데, 엔터테인먼트 회사 역시 서비스업종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내부에 둔 사람을 잘못 관리하고 제대로 된 교육을 하지 못한 결과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Posted by 은목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