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은행과 같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때 빚을 갚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보유하고 있는 주택과 같은 부동산을 은행에 담보설정해 주는 것을 '저당권'이라고 한다. 만약 고객이 원리금을 갚지 못하게 되면 금융권은 부동산을 처분해 자금을 회수하게 된다.

 

그런데 저당권을 잘 살펴보면 앞에 '근'이라는 것이 붙어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다 담보로 부동산을 맡겼다는 것은 같지만 대출금을 상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실질적으로 더 편리한 것은 '근저당권'이다.

 

둘의 차이점은 이렇다.

 

만약 1억 원의 저당권을 설정했을 경우에는 중간에 5천 만원을 갚게 되면 채권금액을 5천 만원으로 새롭게 바꿔서 표시를 해야만 한다. 이 때 고객이 다시 2천 만원을 빌리게 되면 또다시 새롭게 7천 만원으로 고쳐야만 한다.

 

그러나 근저당권을 설정하면 '채권최고액'을 설정해 그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빚은 상환했다가, 다시 빌리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1억 원을 대출받는다고 했을 경우, '채권최고액'으로 1억 2천만 원 정도를 설정한 뒤, 그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상환과 재대출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로 새롭게 '최고액'을 바꿔 공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여러모로 보나 근저당권이 편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 부동산을 담보로 할 때는 '근저당권'을 설정해 사용하고 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마진의 전제  (0) 2014.10.12
적극적 투자관리, 소극적 투자관리  (0) 2014.10.11
투자목표 설정 점검  (0) 2014.10.08
대안투자상품이란?  (0) 2014.10.03
효율적 시장이 되기 위한 3가지 요소  (0) 2014.09.25
위험보상을 결정짓는 요인들  (0) 2014.09.22
Posted by 은목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