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음에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경제활동인구'를 '실업자'라고 하며, 전체 경제활동인구대비 비율은 '실업률'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실업률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많은 사람들이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에 '소비력'이 생겨나므로 기업에서 생산한 상품이 잘 팔리고 이는 다시 투자와 고용으로 이어지며 경제발전을 이끌기 때문이다.

 

반면에 실업률이 높거나, 자꾸 높아지는 중이라면 아무리 다른 경제전망등이 좋다 나온다 하더라도 일단 경계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소비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렇게 예상치로 나온 경제전망들이 실제로는 더 낮게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비단 시중에 풀린 '돈의 양'만이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사회 불안기류가 형성되어 고용되어 있는 사람들마저 평소보다 허리띠를 졸라매기 때문이다.

 

상품은 잘 안팔리자 기업에선 투자를 줄이게 되고, 이는 경제성장을 둔화시킨다. 또한 실업률이 높아지면 주택저당대출등이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부동산 시장도 불안해지며, 주식시장등의 자금도 안전한 자산을 찾아 예금이나 적금등으로만 몰리게 되면서 금융시장마저 불안하게 만든다.

 

따라서 실업률이라는 경제지표는 무척이나 중요한데, 문제는 통계로 나오는 수치가 '진정한 의미의 실업률'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1주일에 하루만 일을 하는 임시직 등도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원래는 일할 의사가 있었지만, 취업을 하려다 힘들어 포기해버리는 경우(의사 상실)에는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게 되면서 역시나 포함되지 않는다.

 

이렇듯 체력과 능력은 있으나 통계에서 제외됐거나, 통계에 집어넣기 민망한 고용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실제 실업률'은 따로 예측을 해보아야 하는데, 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아 실제로 실업자가 줄어드는지, 늘어나는지를 알기는 쉽지 않다.

 

이 통계의 함정을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주목 하는 곳은 '대기업'들이지만, 실제로 근로자의 대부분은 중소기업에 고용되어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들의 재무상태나 손익구조가 나빠져 경영이 악화되면 발표되는 실업률은 약간 낮아졌더라도, '실제 실업률'은 오히려 약간 증가한 상태라고 보는 것이 올바른 판단일 것이다.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물가지수의 개념과 활용  (0) 2014.12.03
샌드위치 환율  (0) 2014.10.16
자동차판매 지표  (0) 2014.10.06
국제수지의 개념과 활용  (0) 2014.10.01
경상수지의 변화  (0) 2014.09.30
GNI의 약점  (0) 2014.09.29
Posted by 은목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