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의미

 

특정 물품의 주문량을 출하량으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1개월 동안 A라는 물품에 대해서 총 20개의 주문을 받았다면 주문량은 20이다. 그런데 실제로 A를 생산해서 차나 배, 항공기 등에 짐을 실은 양은 10개라면 출하량은 10이 된다. A의 1개월 간 수주출하비율은 '2'가 되는 것이다(20÷10).

 

즉, 수주출하비율이 1보다 클 경우에는 주문량이 더 많다는 것이고, 1보다 작을 경우에는 출하량이 더 많다는 뜻이 된다. 주문량이 더 많다는 것은 공급이 모자란 것이고, 출하량이 더 많다는 것은 수요가 모자란 것이다. 즉, 간단하게 생각하면 수주출하비율이 1보다 크다면 물품 소비가 활발히 이루어지므로 관련 업종의 경기가 좋다는 뜻이고, 1보다 낮으면 경기가 나쁘다는 뜻이 된다.

 

이 지표는 각종 제품들에 각각 적용해서 관련 업종의 상태를 진단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반도체'분야이다. 혁신사회인 현대를 살아감에 있어서 반도체가 들어간 상품의 소비는 필수적인 요소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즉, 반도체산업의 동태를 알아보는 것으로 경제 전체 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체 산업이 증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큰 만큼 더더욱 눈여겨 봐야할 경제지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정리 및 활용

 

기업실적이 발표되기 전 주문량과 출하량을 통해 앞으로의 경기 방향을 가늠하므로 수주출하비율은 '선행지표'라고 할 수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 -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에서는 반도체업계 전체의 자료를 수집해 지표로 만들어 발표하는데 이를 'Book-to-Bill Ratio'라고 하며, 줄여서 'BB비율'이라고 한다.

 

 

 

BB비율이 1.0 이상이라면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므로 주식 등 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리고(특히 반도체 관련 업종),

 

BB비율이 1.0 미만이라면 예금 등의 안전자산 비율을 늘리는 것이 좋다.

 

 

3. 주의 할 점

 

예전에는 기업에서 마냥 생산할 수 있을만큼 생산했기에 주문량과 출하량의 비교가 용이했지만, 공급사슬관리(정보기술등을 활용하여 수요에 맞게 자원을 배치 및 조직을 구축하는 것)의 보급 등을 통해 기업이 재고관리를 철저히 하기 시작하면서 예전보다 경기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다. 따라서 다른 경제지표와 함께 볼 필요가 있으며, 단순히 1보다 높다 낮다 이외에도 전체적인 추세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즉, 1보다 높은 상태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지만, 그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하락 중이라면 지속적인 경기 호황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1보다 밑으로 떨어졌을 때는 0.7이나 0.6 등으로 크게 떨어지지 않고 비록 0.9~1.0 사이에서 움직이며 있더라도 그 기간이 2~3달 지속되고, 1위로 올라갔다가 금방 다시 떨어져 다시금 0.9~1.0를 유지하면서 다른 경제지표들이 하락한다면 침체기에 빠져들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1을 넘지 못하다가 돌파했을 때도, 그 수치가 지속되는지를 살펴보거나 다른 경제지표들을 함께 살펴 볼 필요가 있다.

 

4. 보는 곳

 

www.semi.org ▶ MARKET INFO ▶ Book to Bill

 

(반도체장비재료협회)

'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저축률 의미와 활용  (0) 2015.09.25
내구재 주문 동향으로 보는 경제  (0) 2015.04.28
구리가격 전망과 추세의 중요성  (0) 2015.04.16
기존주택 판매량의 의미  (0) 2015.01.18
소매업태별 판매액지수  (0) 2015.01.15
생산자물가지수?  (0) 2014.12.04
Posted by 은목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