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특정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우려를 지우기 위해 행하는 것이 바로 선물 매입을 통한 매입헤지라고 한다. 롱 헤지(long hedge)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외국에서 물품을 구입해서 국내에 팔고 있는 기업 A가 있다고 가정하자. A는 외국기업에게 보통 외상으로 물건을 구입하고 3개월 뒤에 대금을 달러로 결제하기로 약속하였다. 재무제표상에는 매입채무 등의 항목으로 계상될 것이다.

 

A가 계약을 체결하고 물건을 전달받았을 때는 달러/원 환율이 1,000원이었다면 당장 1만 달러치 물품을 구입하면서 1,000만 원이 비용으로 지출될 것이다.

 

그러나 당장 돈을 건네주는 것이 아니라 진짜 돈을 건네주는 결제는 3개월 뒤인데, 3개월 뒤에 환율이 어떻게 될지 알 수가 없다. 만약 달러화의 가치가 상승해 달러/원 환율이 1,100원이 되어버리면 이제는 1,100만 원을 환전해야 1만 달러를 결제해줄 수 있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예상치 못한 100만 원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런 예상치 못한 손실을 피하기 위해 A가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달러 선물 매입을 통한 매입헤지다. 계약을 체결하자마자 3개월물 달러 선물 1만 달러를 환율 1,000원에 1만 달러만큼 매입해놓으면 3개월이 지난 후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였더라도 1만 달러어치를 1,000만 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만약 달러 가치가 하락해 1달러에 900원이 되었다면?

 

이 경우에는 3개월 후에 결재했을 때보다 100만 원만큼 손해를 보게 된다. 즉, 3개월 후 900만 원의 비용만 지출하면 되는데 1,000만 원이 그대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선물을 이용한 헤지거래는 특정한 가격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예상치 못한 손실을 회피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런데 위에서는 현물 환율이 1,000원일 경우 3개월 뒤 만기가오는 선물 환율도 1,000원을 가정했으나 실제로는 현물과 선물의 거래가격이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선물의 가격이 더 높다. 선물로 필요한 달러 금액을 매입할 경우 당장 현물로 매입할 때보다 들어가는 금액이 적기 때문에, 그 금액만큼 은행이자등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반영되어 선물매도자는 그 이자만큼을 더해서 매도하려 하기 때문이다.

 

또한 금융거래를 하는데 있어 들어가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고, 이런 거래를 하기 위한 인력을 따로 쓴다면 인건비도 들어간다.

 

따라서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매끄럽게 헤지가 이뤄지지는 않는다. 즉, 예상치 못한 손실회피를 위해 가격 고정을 하려면, 가격변동위험을 피하는 대신에 조금 더 비용을 지불해야한다.

Posted by 은목걸이